공영방송 KBS의 수신료 논란이 다시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1981년 이후 40년째 그대로인 수신료를 월 2,500원에서 3,840원으로 올리는 안이 이사회에 상정된 겁니다. <br /> <br />정치권으로까지 문제가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나경원 국민의힘 서울시장 예비후보, "KBS의 방만한 경영 실태를 바로잡는 것"이 먼저라며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당 김웅 의원 역시 KBS 직원 60%가 억대 연봉이고, 이 가운데 2천여 명은 무보직이라고 비판했는데요. <br /> <br />KBS가 억대 무보직은 500명 적은 1,500명이라고 해명했지만,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에는 어땠을까요. <br /> <br />지난 2011년, 당시 야당인 민주당이 'KBS 수신료 인상 날치기'에 반대하는 피켓 시위 겸 긴급 의원총회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의 입장은 달랐는데요, 차례로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손학규 / 당시 민주당 대표(2011년 6월) : 날치기를 할 게 따로 있지…. KBS 수신료 인상안이 뭐가 그렇게 급하다고 날치기를 합니까?] <br /> <br />[이명규 / 당시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(2011년 6월) : 상임위 전체 회의에서도 얼마든지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성실하게 이번 6월 국회 다시 한 번 임해주시면 좋겠다는….] <br /> <br />2007년 이후 세 차례 수신료 인상 움직임이 있었는데, 여당의 찬성과 야당의 반대 속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일이 반복됐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은 과거보다 더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, 미디어오늘과 리서치뷰가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를 보면 KBS 수신료를 올려야 한다는 의견은 6%에 불과했고, 46%는 폐지, 14%는 인하를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 또한 그리 우호적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방송 문제를 담당하는 국회 과방위원장, 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"국민의 동의 없는 수신료 인상은 안 된다", "코로나 속 국민 고통 분담을 위해서 KBS가 무엇을 할지 '공정'한 태도를 취하라"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양지국 개설과 같은 수신료 인상의 일부 근거 항목을 두고도 논란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KBS는 북한 관련 부정확한 보도가 사회적 혼란을 가져온다며, 정확하고 객관적 사실 보도를 위해 필요하다는 이유를 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다만 KBS를 '통일방송 주관 방송사'로 명시하기 위한 연구 용역, <br /> <br />또 평양 열린음악회, 평양 노래자랑과 같은 콘텐츠 기획·제작까지 더해 50억 원 넘는 금액을 책정한 것을 두고는 의견이 엇갈립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20212571528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